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저번에 소개해드린 일본상장 미국채 ETF 2621에 이어서 한국에 상장된 동일 상품을 소개합니다.
KB자산운용에서 나온 ETF로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472870) 입니다.
상품 소개 & 주가
2621과 동일한 상품이나 원화로 투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엔화 가치 변동, 미국채 금리 변화는 모두 가격에 녹아서 움직입니다.
국내에 상장되어 있기 떄문에 ISA, 개인연금 계좌에서 편입하여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2621의 경우 배당소득세, 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250만원 이상일 시)가 발생하는데, 이 ETF는 계좌를 잘 활용하면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최근 주가는 엔화 약세, 미국채 금리 상승으로 하락하여 9000원대에서 등락중입니다.
수수료
ETF보수는 연 0.15% 입니다. 2621과 마찬가지로 달러-엔화간 환헤지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그 비용도 주가에 녹아서 반영됩니다. 생긴지 얼마 안된 ETF라서 정확한 수수료를 산정하기는 어려워 보이네요.
분배금
2621과 가장 크게 다른부분인데, 분배금이 없습니다. 분배금이 전액 재투자 되는 구조라 역시 주가에 녹아있다고 봐야합니다. 따박따박 배당을 받는걸 재미로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아쉬울만한 부분이죠.
*3월 29일 업데이트
월배당으로 변경되었습니다. 4월말기준 보유하고 있으면 5월부터 지급이 될 예정입니다. 2621과 유사한 배당률을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이터가 나오면 재차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2621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디테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의 경우 대부분이 주가에 녹아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해외 ETF와 다르게 세제 혜택을 누릴 방법이 있다는 점도 특징적입니다. 일단 세제혜택 한도까지는 국내 ETF로 채우고 그 이후에 해외 ETF로 투자하는게 가장 효율적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파이어족 >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국채 인버스 ETF 소개 (2251, NEXT FUNDS JPX JGB Futures - 2x) (0) | 2024.04.09 |
---|---|
미국 단기 국채 레버리지 ETF TUA 소개 (원리, 매력, 배당, 수수료 등) (0) | 2024.03.26 |
일본 상장 미국채 ETF (2621) 수익률, 배당, 수수료, 세금 등 (0) | 2024.02.27 |
인튜이티브 머신스(LUNR) 기업 소개, 사업분야, 주가, 시가총액 정리 (0) | 2024.02.26 |
네이버 치지직의 한계와 아프리카TV의 성장가능성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