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미국 단기 국채 2년물에 투자하는 ETF인 TUA에 대해 소개를 해보고자 합니다. 단순하게 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은 아니고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원리
TUA의 원리는 구성종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2년물 국채의 비중의 포트폴리오에서 512.11%로 나타나 있고, 약 90% 정도가 단기 T-bil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 600%정도가 레버리지를 활용해 투자되어 있는 것으로, 큰 변동성을 보이게 됩니다.
TUA를 운용사에서 소개하는 것을 보면 단기 국채를 투자하되 7~10년물의 중기 채권 투자 수익률 이상을 추구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간단하게 개념을 설명하면 채권은 장기채로 갈수록 금리 하락 시 가격 상승률이 높아집니다. 똑같이 1%가 하락해도 2년물이 2% 오른다면 20년물은 20% 오르는 개념입니다 (예시일뿐 실제 상승폭은 듀레이션에 좌우됩니다)
TUA는 단기 채권에 레버리지를 사용함으로써 금리 하락시에 10년물 투자와 비슷한 수익률을 만들어 내겠다는 것입니다
현 시점 매력적인 이유
TUA는 장기금리보다 단기금리가 빠르게 하락할 시 더 유리한 상품입니다. 단기금리는 보통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더 민감하고, 장기금리는 국가의 장기 경제성장률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합니다. 현 시점은 2년물이 10년물보다 금리가 높은 비정상적인 상황입니다. 연준이 금리 인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다시 2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만큼 2년물이 하락폭이 더 클 것입니다.
배당
최근 1년간의 배당은 0.94달러로 현 시점 배당률이 약 4.3% 나옵니다. 최근 3월 배당이 기존보다 많이 낮은 0.02불인데 이 감소폭이 일시적인 것인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수수료
운용 보수는 0.16%로 단순 ETF보다는 높은 편입니다만, TLT도 0.15% 수준임을 고려할 때 과도하게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파이어족 >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국채 인버스 ETF 소개 (2251, NEXT FUNDS JPX JGB Futures - 2x) (0) | 2024.04.09 |
---|---|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상품 소개, 주가, 수수료, 분배금 등 (0) | 2024.03.05 |
일본 상장 미국채 ETF (2621) 수익률, 배당, 수수료, 세금 등 (0) | 2024.02.27 |
인튜이티브 머신스(LUNR) 기업 소개, 사업분야, 주가, 시가총액 정리 (0) | 2024.02.26 |
네이버 치지직의 한계와 아프리카TV의 성장가능성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