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제가 요즘 가장 크게 관심을 갖고 있는 투자 상품은 엔화로 투자하는 미국채 ETF입니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에 들어가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장기적인 금리 하락이 확실시되는 미국채가 매력적인 투자 상품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역대급 엔저 환경에서 엔화로 투자를 한다면 엔화가 강세로 전환할 시 환 차익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이 방식으로 투자하는 방법은 일본에 상장된 2621 ETF (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를 사거나, 한국에 상장된 'KBSTAR 미국채30년 엔화 노출 합성(H)' 를 사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이 ETF들은 엔화에는 환노출이 되지만 달러-엔화에는 환헷지가 걸려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엔화로 미국 국채를 투자한다고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2621 ETF만 소개하고, 국내상장된 KBSTAR ETF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으로 정리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수익률 추이
2621은 최근 1년간 약 13%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동안 미국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서 수익률은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여기에 엔화가 1년간 967원/100엔에서 884원/100엔으로 하락함에 따라 8.5% 추가적인 손해를 보게 되었으므로 약 21.5%의 손실을 보였습니다.
2. 배당
2621은 분기 배당을 지급합니다. 최근 1년동안 주당 36엔이 지급되었으며 현재 시가배당률로는 약 2.8%가 나옵니다. 미국 장기채치고는 높지 않은 배당률이긴 합니다.
3. 수수료
운용보수 0.154%에 추가적으로 환헷지 비용이 가격에 녹아져서 들어갑니다. 환헷지비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보시면 되는데 평균적으로 연간 2%가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4. 세금
해외주식이기 때문에 배당은 일괄 과세(15.4%)가 되며 수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수익이 250만원 이상일 시 250만원 공제 후 22%의 세금 납부가 필요합니다.
같이 읽어보실만한 글
'파이어족 >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단기 국채 레버리지 ETF TUA 소개 (원리, 매력, 배당, 수수료 등) (0) | 2024.03.26 |
---|---|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상품 소개, 주가, 수수료, 분배금 등 (0) | 2024.03.05 |
인튜이티브 머신스(LUNR) 기업 소개, 사업분야, 주가, 시가총액 정리 (0) | 2024.02.26 |
네이버 치지직의 한계와 아프리카TV의 성장가능성 (0) | 2024.02.22 |
[한국주식/비상장] 비바리퍼블리카 투자 이유, 사는 법 (1)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