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금융권에서 최근 가장 뜨는 분야 중 하나인 사모펀드, 벤처캐피탈의 뜻과 업무, 취업, 자격증 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모펀드(Private Fund)란 무엇인가?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의 반댓말로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공모와 달리, 특정 소수의 개인/기관들의 자금만 모은 펀드를 말합니다. 영어로 이해가 더 쉬운데 공모는 Public, 사모는 Private이기 때문에, 프라이빗하게 모인 펀드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사모펀드는 크게 두 분야로 나뉩니다. 주식에 투자하는 분야와 채권에 투자하는 분야입니다.
먼저 채권에 투자하는 분야는 시장에서 발행되는 공모 회사채가 아니라, 자체적으로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개념입니다. 은행의 일을 대신해주면 된다고 보면 되며, 그렇기에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힘든 낮은 신용 회사들이 투자대상입니다.
주식은 상장기업, 비상장기업 모두 투자를 합니다. 비상장기업에만 투자한다고 오해하는 분들도 있으나, 한샘(IMM PE), 쌍용C&E(한앤컴퍼니), 오스템임플란트(MBK) 등 상장기업에도 투자하곤 합니다. 물론 많은 경우 자진상폐를 시키고 기업을 개선해서 재상장 시켜서 돈을 챙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장기업은 그만큼 활동에 제약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벤처캐피탈
벤처캐피탈은 기본적으로 주식에 투자하는 사모펀드와 유사하나 그 투자 대상이 더 업력이 짧은 스타트업 기업인 점에 차이가 있습니다. 매출이 아예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기술개발중인 기업도 있을 수 있습니다.
벤처캐피탈보다도 더 이른 시점에 투자하는 것이 액셀러레이터인데, 액셀러레이터는 실제로 투자대상 회사가 발전하는 것을 도와주고 조언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탈의 투자 업무
기본적으로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의 투자 업무는 투자 대상 기업의 발굴부터 시작됩니다. 기업 발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당연히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인수가격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입니다. 또한 인수 이후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기업을 성장시킬 방안이 있는지, 현재 기투자한 기업 중에 시너지가 날 방안이 있는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민을 하게 됩니다.
기업이 선정되고 투자조건이 합의가 된 상황에서는 대부분 추가 자금조달이 필요합니다. 기투자 펀드만으로는 일부 지분만 인수가 가능하고, 크게 대출을 일으켜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자금 조달 계획까지 완성이 되어야합니다.
그 후 추가 투자자(LP)를 모집하여 딜을 마무리하고, 기업 가치를 올리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공모펀드와 가장 다른 점이 사모펀드는 적극적으로 기업 경영에 관여한다는 점이고, 경영진을 교체하거나 사업부문 일부를 매각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기업가치를 올린 후 Exit하게 됩니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취업 방법
앞서 말했듯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업무에는 높은 전문성이 필요합니다. 신입으로 들어가기는 어렵고 관련 경력을 쌓고 이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단 전문직 수요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가치평가를 위해서는 높은 회계지식이 필요합니다. 회계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회계법인에서 M&A자문을 하다가 넘어오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또한 법률적 지식도 도움이 됩니다. 사모펀드는 인수, 합병, 경영진 교체 등 다양한 문제를 검토해야하기에 변호사들도 필요한 인력입니다.
자격증 없이 가장 무난하게 넘어가는 방법은 MBB등 전략컨설팅사에서 M&A자문 경력을 쌓다가 넘어가는 경우, 증권사에서 M&A부서에 있다가 넘어가는 경우 입니다. 물론 탑 컨설팅, 증권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좋은 학벌과 많은 산업지식이 필요하겠죠.
벤처캐피탈(VC)은 사모펀드보다 더 이른 Stage의 기업을 투자하기 때문에 기술에 대한 지식, 감이 더 중요하기도 합니다. 가치평가도 물론 필요하나 이것은 일단 회사의 비즈니스가 성장하고 난 다음에 적용되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VC는 한 산업에 특화된 경우가 꽤 있으며, 관련 산업에서 전문가들이 넘어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IT, 바이오, 모빌리티 등 분야들이 그러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이런 분야의 VC에서 일하고 싶다면 해당 산업을 경험해보는 것이 상당히 필요하겠습니다. 전문성 없이는 성공하기 어려운 분야기도 하고요.
자격증
앞서 말씀드렸듯 사모펀드, 벤처캐피탈은 자격증만 있다고 해서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직장이 아닙니다. 다년간의 관련 경험이 더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있으면 좋은 자격증 몇 개를 소개시켜드립니다. 난이도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CPA: AI, KICPA 모두 상관없습니다. 일단 회계적 지식, 기업가치 산정이 매우 중요한 분야입니다. 회계사는 분명히 선호됩니다.
CFA: 금융자격증 중에서 가장 가치있는 자격증 중 하나로 다방면의 금융 관련 공부를 해왔다는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나머지 자격증들은 사실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연봉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이 금융권에서 가장 뜨는 직장으로 꼽히는 이유는 바로 연봉입니다. 전통투자(주식, 채권) 보다 대체투자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의 보수도 크게 올라갔습니다.
평균 연봉은 은행, 증권사 등이 높을 수 있겠지만, PE, VC업계는 투자가 성공했을 시의 인센티브가 굉장히 큰 편입니다. 아래 기사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 파트너(임원) 이상급이면 몇억, 몇십억씩을 일년에 챙겨갈 수 있는 직업인데, 이런 직업은 거의 없죠. 금융권에서 돈을 많이 벌고 싶은 사람이라면 도전해볼만한 직업입니다.
함께 읽어보실만한 글
'금융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권취업] 연기금, 공제회는 무슨 일을 하는 곳일까? (차이점, 업무, 취업, 자격증, 연봉 등) (0) | 2024.03.21 |
---|---|
[금융권지식] 은행, 증권사 심사팀 업무는 어떤 것일까? (증권사 리서치 애널리스트와의 비교) (0) | 2024.01.18 |
[금융권지식] 부동산 PF 위기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PF 구조,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유, 향후 전망 등) (1) | 2024.01.02 |
[금융권 지식] 주요 자산군별 특성과 관련 회사 정리 (0) | 2023.12.21 |
[금융권 지식]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무슨 일을 하는가? (애널리스트, RA 업무) (0)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