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권 정보15

[금융권지식] 은행, 증권사 심사팀 업무는 어떤 것일까? (증권사 리서치 애널리스트와의 비교)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여러 금융기관에 존재하는 심사역이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심사역이란? 심사역은 프런트(투자부서)에서 제안하는 사업을 검토하는 역할을 하는 보직입니다. 직접적으로 수익을 창출해내는 프런트에 속하지는 않고 미들 업무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런트 이상으로 사업에 대해 잘 알아야 하고 금융지식이 있어야하는 전문보직이라고도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프런트가 아님에도 적지 않은 연봉을 받기도 하는 자리입니다. 심사역의 역할은 사실 회사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먼저 은행에서는 여러 심사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출을 심사하기도 하고, 투자사업을 심사하기도 하죠. 상품마다 봐야하는 것이 다르긴 하지만 일단 본질은 똑같습니다. 보수적인 시각에서 우리가 빌려준 .. 2024. 1. 18.
[금융권지식] 부동산 PF 위기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PF 구조,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유, 향후 전망 등)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요즘 핫한 태영건설 사태를 통해 부동산 PF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떤 구조이기에 이런 사태가 발생했는지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개발은 빚을 내어 하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되어 있습니다.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그 자금으로 개발을 한 후 매각하여 수익을 회수, 대출을 상환하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개발 주체 일단 부동산 시장에는 3곳의 주체가 있습니다. 그 주체들이 하는 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시행사: 말 그대로 공사를 행하는 회사입니다. 사실 우리가 흔히 사업 주체는 건설사라고 생각하는데, 시행사가 주도합니다. 토지 매입부터 개발과정 전반을 주도하며, 가장 큰 수익을 떼가는 곳이기도 합니다. 건설사는 사실 시행사와 계약을 .. 2024. 1. 2.
[금융권 지식] 주요 자산군별 특성과 관련 회사 정리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투자자산군별 특성과 관련 커리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각 자산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추후 다룰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투자자산군 투자자산은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주식 2. 채권 3. 대체투자 이건 NPS(국민연금), KIC(한국투자공사) 등 모든 연기금에서 하는 분류입니다. 자산마다 위험과 기대수익률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이 중에 대중들에게도 익숙한 주식과 채권은 역사가 오래된 자산입니다. 이 자산 둘을 전통자산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그 외의 자산을 퉁쳐서 대체투자라고 부릅니다. 그렇게 때문에 정말 다양한 자산이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사모주식, 사모채권, 부동산, 인프라, 원자재 등등이 모두 .. 2023. 12. 21.
[금융권 지식]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무슨 일을 하는가? (애널리스트, RA 업무)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이 글에서는 증권사 리서치센터 업무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리서치센터란?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애널리스트들이 일하는 곳입니다. 애널리스트들이 경제, 기업을 분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고, 그 보고서를 활용하여 증권사는 개인/기업 고객에게 마케팅을 진행하게 됩니다. 섹터/산업 분류 리서치센터는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집니다. 매크로/전략을 리서치하는 거시부문과 기업/산업을 리서치하는 부문입니다. 먼저 거시부문에서는 대형사의 경우 국가별로 담당자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보통 한국, 미국, 중국, 유럽 정도를 커버하고, 증권사 특성에 따라 일본이나 베트남을 보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 투자전략을 담당하는 스트레터지스트(Strategist)와 순수 경제를 .. 2023. 12. 19.
[금융권취업] 금융권 취업을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할까? (금융자격증, 인턴 경험, 외국어 등)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금융권 취업을 위해 취준생들이 준비하면 좋은 것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중요도와 세부적으로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 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금융자격증 취준생이 금융자격증을 따야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금융권에 대한 관심 증명입니다. 신입, 인턴이 자격증을 갖고 있다고 해서 업무에 써먹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보통 없습니다. 취준생이 따기 가장 어려운 자격증으로 생각되는 CFA lv 1도 그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격증에 대한 과도한 투자는 필요 없다고 생각됩니다. 오히려 투자자산운용사, 테셋과 같이 난이도가 높지 않으면서, 관심도를 표명하기 좋은 자격증이 좋아보입니다. 특히 투자자산운용사는 운용사 지원에는 확실히 플러스 되는.. 2023. 10. 22.
[금융권취업] 증권사, 운용사, 은행의 차이점과 신입사원 취업 추천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이번에는 주요 금융권 3개분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연기금,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등 여러 분야가 있지만 신입 채용이 워낙 한정된 분야이기에 대부분의 신입사원들은 증권사, 운용사, 은행 중에서 금융권 커리어를 시작하게 될 겁니다. 저는 3개 분야에서 모두 일해보았는데요. 사실 금융권이라고 하나 한 업게에서 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많아야 2곳), 3곳에서 모두 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많을 것 같지 않아 경험자로서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이 글로 정보공유를 하고자 합니다. 먼저 증권사, 운용사, 은행의 하는 일은 크게 다릅니다. 잘 모르는 분들은 증권사와 운용사를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쉬운 순서대로 한 곳씩 정리해보겠습니다. 1. 은행 우리.. 2023. 8. 13.
[금융권취업] 금융권(증권사, 운용사, 은행 등) 취업을 위해 CFA를 딸까요 말까요? 안녕하세요. 주식하는치타입니다. 오늘은 금융자격증 관련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저는 금융권에서 약 10년정도 일을 해왔는데요. 운용사, 증권사, 은행을 모두 경험해보았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알고 있는 금융권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천천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처음으로 다룰 내용은 금융자격증인 CFA입니다. 금융권, 특히 증권사나 운용사에 들어온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CFA취득에 대해 고민을 해보기 마련입니다. 요즘은 금융권을 준비하는 취준생들도 레벨1을 따는 경우는 왕왕 있다고 들었는데요. 저는 10년전에 사회생활을 시작할때 CFA를 접하였고, 별 생각없이 시작을 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공부를 하기가 어려워서 레벨1을 삼수끝에 붙었고, 한참동안 레벨2에 도전을 안하다가 레벨 2, 3.. 2023. 8. 7.